서울시동남보조기기센터, 장애인 이동권 향상을 위한 ‘이동보조기기 안심 스마트맵’ 제작 및 시범 서비스 개시

[스타인뉴스 김용수 인턴기자] 서울시동남보조기기센터(센터장 강용원)는 이동보조기기 이용자의 편의 증진을 위해 수리업체, 충전소 등 필수 정보를 지도 기반으로 제공하는 ‘스마트맵’을 제작해 11월 17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센터는 이용자 상담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가 어디 있는지 찾기 어렵다’, ‘여러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정보를 찾는 것이 번거롭다’는 불편 사항을 지속적으로 접했다.
특히 한 이용자는 ‘휠체어가 고장 났는데 어디서 수리할 수 있는지 몰라 한참을 헤맸다’며 어려움을 토로했고, 황승현 물리치료사는 ‘지도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면 복잡한 검색 없이 한눈에 확인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아이디어를 구상했다. 이후 이용자 상담 시 필요한 정보를 개인적으로 정리해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글 맵과 스마트서울맵의 데이터를 활용해 이동보조기기 이용자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추가해 스마트맵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스마트맵은 △이동보조기기 수리업체 위치 및 연락처 △무료 휠체어 공기주입기 설치 장소 △전동 휠체어 충전소 △휴대용 충전기 대여소 등 이동보조기기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스마트폰과 PC에서 별도 앱 설치 없이 URL만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가까운 시설을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로 문의할 수 있도록 세부 정보도 제공한다.
현재는 구글 맵의 기술적 제약을 고려해 ‘수리업체 지도’, ‘충전기 지도’ 등 분야별로 분리해 운영 중이며, 향후 하나의 플랫폼 안에서 주제와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 통합 지도 형태로 개편할 계획이다. 서비스는 동남권역(강동·송파 등)을 중심으로 구축돼 있으며, 2026년까지 서울 전역으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또한 이동보조기기 외에도 AAC존 등 다양한 보조기기 관련 정보를 추가해 이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 범위를 넓혀갈 예정이다.
센터는 이용자 피드백을 수집해 실제 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우선적으로 반영하고, 정보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이어갈 방침이다. 강용원 센터장은 “스마트맵은 현장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탄생한 서비스”라며 “필요한 순간 즉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장애인의 이동권 향상과 일상생활 자립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스마트맵은 지역별로 △광진·성동 △강남·서초 △강동·송파 위치 안내가 제공되며, 자세한 정보는 서울시동남보조기기센터 홈페이지 공지사항(19번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센터 이용 및 상담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가능하며, 전화 예약 후 방문 상담도 진행된다.
현재 스마트맵은 동남권역(강동구, 송파구 등)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으나, 2026년까지 서울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이동보조기기뿐만 아니라 AAC존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추가해,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모든 보조기기 관련 서비스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센터는 이용자 피드백을 적극 반영해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추가하고, 정보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할 방침이다.
강용원 센터장은 “스마트맵은 현장에서 이용자들이 실제로 겪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만들어진 서비스”라며 “정보를 찾기 위해 여러 곳을 헤매는 수고를 덜고, 필요한 순간에 바로 도움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어 “현장 전문가의 경험과 아이디어가 실제 서비스로 구현된 좋은 사례”라며 “앞으로도 이용자 중심의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해 장애인의 일상생활 자립과 이동권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