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ViBE, 새로운 음원 사용료 정산 방식 도입

[스타인뉴스 이정명 인턴기자] 기존의 멜론, 지니, 벅스 등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는, 자신이 내는 구독료의 대부분을 자신이 듣지 않는 음악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음원 차트 순위가 높은 아티스트에게 구독료가 나눠지는 것이다. 고로,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노래를 아무리 들어도, 음원 차트 순위가 높지 않다면 무소용이다.
한국 스트리밍 서비스들의 이러한 정산 방식은 심한 차트 경쟁, 음원 사재기, 차트 조작등의 동기를 제공했다. 음원 차트 상위권으로 순위를 올리면, 사용자들의 구독료 대부분을 정산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네이버 VIBE'는 새로운 음원 이용료 정산 방식을 도입했다.
바로, '내돈내듣'이다. '내가 낸 돈은 내가 듣는 음악에 정확하게 배분된다.' 의 줄임말로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의 아티스트들에게 자신의 구독료가 돌아간다. 자신이 음악을 들은만큼, 그 음악을 만든 아티스트에게 수익이 생김으로써 기존의 차트 조작, 음원 사재기 현상이 줄어들고, 더욱 다양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점이 기대된다.
저작권자 © 스타인뉴스 출처와 URL 삽입시 저작권 프리(F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