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인뉴스 양경모 기자] 5일 정부가 마스크 수급 안정화를 위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마스크 전량을 직접 관리하기로 했다.
마스크 구매는 출생연도에 따라 1주일에 1인당 2매로 제한하는 '5부제'를 실시한다. 공적 판매처로 공급되는 마스크의 비중은 오는 6일부터 50%에서 80%까지 늘리기로 했다.
마스크 수출은 전면 금지하고 공적 마스크 공급을 조달청이 주관하는 등 마스크 생산과 유통, 분배까지 전과정을 국가가 관리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정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합동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의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오는 6월30일까지 적용된다.
정부는 우선 마스크 수출을 전면 금지, 공적 판매처로 공급되는 마스크 비중을 전체 생산량의 80%로 상향 조정했다.
전체 마스크 생산량도 향후 1개월내 일 1400만매로 늘리기로 했으며 마스크 생산량이 1400만매로 늘어날 경우 하루에 공적 마스크로 1120만개가 약국 등을 통해 공급될 예정이다.
마스크 원자재인 멜트블로운필터(MB필터) 수입을 4월말까지 27t로 확대하고, 마스크 생산업체 인건비 지원을 위해 1인당 최대 80만원의 추가고용보조금도 지원한다.
전국민에게 마스크를 공평하게 공급하기 위해 마스크 생산, 유통, 분배 과정을 사실상 100% 관리하는 대책을 마련했으며 공적 마스크의 최고가격 지정 근거를 마련하고 공적 마스크 계약도 기존 민간 유통업체에서 조달청으로 전환한다.
공적 마스크는 1인 2매로 구매가 제한되며 9일부터는 출생연도에 따라 5부제로 구매가 가능해진다. 출생연도를 2개씩 나눠 각 요일별로 구매하도록 했다. 출생연도 끝자리가 1, 6은 월요일에 구매가능하고 2, 7은 화요일에 구매가능하다. 3, 8번은 수요일, 4, 9번은 목요일, 5, 0번은 금요일에 구매할 수 있다.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주중에 마스크를 구매하지 못한 경우 구매할 수 있다.
마스크 중복구매 방지를 위해 오는 6일부터 약국은 구매자의 신분증을 확인하고 판매이력 시스템에 등록해 관리하게 된다. 우체국과 농협은 중복구매 확인시스템 구축 전까지 1인 1매로 구매한도를 제한하고 시스템이 구축되면 1인2매로 한도를 늘리기로 했다.
우체국과 농협, 약국에서 판매되는 공적마스크 가격은 기존과 동일한 수준이며, 우체국과 농협은 매일 오전 9시30분 번호표를 동일하게 교부할 예정이다.